톰캣 한글 깨짐 방지를 위한 설정 체크
1. post방식 한글 깨짐 방지를 위한 설정
/conf/web.xml
<filter>
<filter-name>encodingFilter</filter-name>
<filter-class>org.springframework.web.filter.CharacterEncodingFilter</filter-class>
<init-param>
<param-name>encoding</param-name>
<param-value>UTF-8</param-value>
</init-param>
<init-param>
<param-name>forceEncoding</param-name>
<param-value>true</param-value>
</init-param>
</filter>
<filter-mapping>
<filter-name>encodingFilter</filter-name>
<url-pattern>/*</url-pattern>
</filter-mapping>
2. get방식 한글 깨짐 방지를 위한 설정
/conf/server.xml
<Connector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 redirectPort="8443" maxThreads ="1200" connectionTimeout="100000" URIEncoding="UTF-8"/>
3. 소스내 UTF-8 설정
jsp파일 ex) 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 pageEncoding="UTF-8" %>
html파일 ex) 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
css 파일link (css파일내 설정되어 생략가능)
ex) 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" charset="UTF-8" />
4. 소스 파일 'UTF-8' 로 저장
'Web제작자료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 (0) | 2018.08.28 |
---|---|
리눅스, 아파치, 톰캣, 오라클 버전 확인 방법 (0) | 2018.08.24 |
주기적 작업 수행을 위한 배치 등록 파일 crontab (0) | 2018.08.16 |
리눅스 tar 압축/해제 방법 (0) | 2018.08.10 |
리눅스 문서 보기/편집하기 vi visual editor) 편집기 사용 명령어 (0) | 2018.08.09 |